<200606 금속재료기사>
2021.12.21 - [공부/금속재료] - 200606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1.12.22 - [공부/금속재료] - 200606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1.12.23 - [공부/금속재료] - 200606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1.12.24 - [공부/금속재료] - 200606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1.12.25 - [공부/금속재료] - 200606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61. 일반적인 금속의 푸아송비의 범위는 0.2 ~ 0.4이다.
62. 단위전위인 Burgers 벡터가 격자의 최고원자 밀도 방향과 평행할 때 그 전위가 최소의 에너지를 갖는 것은 완전전위이다.
63. 인장시험에서 재료의 소성변형거동 중 균일신장이 일어나는 곳
- 탄성한계, 상부항복점, 하부항복점
64. 항복점 현상과 관련된 거동으로 금속을 냉간가공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가열할 때 금속의 강도가 증가하고 연성이 감소하는 것은 변형시효이다.
65. 재료의 가공경화는 재료 내 전위밀도의 증가에 기인한다.
66. 압연 시 작업 롤(Roll)의 회전속도와 판재의 수평 이동속도가 같아지는 위치는 중립점이다.
67. 면심입방격자의 슬립면과 슬립방향
[FCC] 슬립면: (111) / 슬립방향: [110]
[BCC] 슬립면: (110), (211), (321) / 슬립방향: [111]
[HCP] 슬립면: (0001), (1010), (1011) / 슬립방향: [1120]
68. 인장시험 시 연신율에 대한 설명
- 시편의 단면적이 적을수록 연신율은 감소한다
- 크기가 다른 시편의 연신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시편의 기하학적 형태가 같도록 해야 한다.
- 네킹(necking) 현상의 발생은 연신율과 단면감소율 간의 양적 환산을 어렵게 한다.
69. 충격 시험에 관한 설명
- 샤르피형 충격시험기가 있다.
- 동적하중에 대한 시험
- 충격 시험편에는 노치가 있다.
70. 2차 크리프의 특징
- 가공경화 후 회복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구간
71. 스프링 백 (spirng back)의 설명
- 스프링 백은 탄성회복에 의한 변형률의 변화로 생긴다.
72. 판재의 프레스 성형에서 나타나는 결함인 오렌지 필의 생성원인
- 표면의 결정립 수가 적기 때문
- 표면의 결정립이 조대하기 때문
- 결정방향에 따라 다르게 변형하기 때문
73. 소성변형에서 진응력(σ), 공칭응력(S), 공칭변형률(e) 사이의 관계식
σ = S(1 + e)
74. Portevin LeChatelier의 효과
- 응력-변형률 곡선상에 나타나는 톱니모양의 변형
- 고탄소강인 경우 230~370℃에서 소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 Portevin LeChatelier 효과로 인해 연성이 감소하고 충격인성이 감소하여 취약해 진다.
75. HCP 금속결정에서 슬립면이(0001)이며, 슬립방향이 [2110] 일 때, 슬립계는 3개이다.
76. 열간가공의 일반적인 특징
- 가공경화가 쉽제 제거된다.
- Ti과 같은 활성금속은 공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가공해야 한다.
- 주조상태보다 인성과 연성이 증가한다.
77. 지름이 6mm, 길이가 200mm인 철사가 100N의 인장력을 받을 때 길이가 2mm 늘어났다가 하중이 제거되었을 때 원상태로 돌아간다면 이 철사의 탄성계수는 약 354N/㎟이다.
σ=E×ε → E=σ/ε
ε= 2/200 = 0.01
σ=100/9π= 3.54
E=3.54/0.01=354
78. Hall-Petch식 (단, σ는 항복응력, σo는 전위의 운동을 방해하는 마찰응력, d는 결정립의 지름, k는 상수이다.)
79. 후크의 법칙에서 응력과 연신율의 비는 탄성한계 내에서 일정한 값을 가지는데, 이는 탄성계수이다.
80. 전단저항이 450MPa, 두께가 2mm인 판재를 원둘레 길이가 200mm인 원판으로 자르는데 필요한 전단하중은 약 180k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