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90804 금속재료기사>

2021.12.26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1.12.27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1.12.28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1.12.29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1.12.30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1. X선의 회절조건을 나타내는 관계식은 2d sinθ = nλ이다. (단, d는 면간거리, θ는 X선의 입사각, λ는 X선의 파장, n은 상수이다.)

 

 

2. 체심입방격자의 최근접 원자의 배위수는 8이다.

 

BCC 배위수 : 8

FCC, HCP 배위수 : 12

 

 

3. 면심입방격자에서 가장 큰 원자 밀도를 가진 면은 {111}이다.

 

 

4. 규칙격자가 불규칙격자와 비교하여 전기전도도가 큰 이유

 

- 전도전자의 산란이 적어지므로

 

 

5. 용질원자가 용매원자에 고용되는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요소

 

- 결정구조, 원자의 크기, 원자의 전기음성도

 

 

6. 오스테나이트에서 펄라이트로 변태할 때,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의 결정입계에서 먼저 변태가 시작된다.

 

 

7. 면심입방격자인 금속이 응고할 때 결정이 성장하는 우선방향은 [100]이다.

 

 

8. 결정입도번호가 7일때, 촬영한 1inch² 당 평균 결정립 수는 64개이다. (단, ASTM 기준이며, 배율은 100배)

 

결정립수 = 2^(N-1)

ㅜ : ASTM 입도번호

 

 

9. 금속의 재걸졍에 대한 설명

 

- 재결정은 핵생성 및 성장과정

- 핵생성속도가 작고 핵성장속도가 크면 결정립이 크게 성장한다.

- 핵생성속도가 크고 핵성장속도가 작으면 미세한 결정립이 된다.

 

 

10. 냉간가공 후 수행하는 풀림처리에 대한 설명

 

- 전위밀도의 감소에 의해 연화된다.

 

 

11. A-B 2원계 상태도가 다음과 같을 때 B가 20wt%인 합금이 T₁온도에서 액상과 고상의 비

액상 : 고상 = ab : bc

B 지점의 고체의 양을 구하는 식은 c-b/c-a 이고 액체의 양을 구하는 식은 b-a/c-a 이다.
즉 고체의 양은 b지점에서c 지점까지의 거리, 액체의 양은 a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거리의 수와 비례한다.

 

 

12. 슬립계에 대한 정의

 

- 슬립면과 방향의 조합

 

 

13. 다음 상태도에 표시한 합금 중 상온에서 단일상이 나타나는 합금

d영역

 

 

14. 포정반응

 

 

15. 3성분계 상태도에서 자유도가 0이 될 때 상이 수는 4개이다. (단, 압력은 일정하다.)

 

자유도 공식 -> F=C-P+2
압력이 일정할때(금속의 자유도 구할때 등) -> F=C-P+1
F - 자유도, C - 성분의 개수, P - 상의 개수
0 = 3 - P + 1 => P = 4

 

 

16. 순철의 동소변태 온도는 910℃. 1400℃ 이다.

 

 

17. 구리 및 구리합금의 현미경 조직 시험의 부식제로는 염화제2철 용액이 적합하다.

 

[철강]: 나이탈, 피크랄
[Al합금]: 수산화나트륨, 불화수소산
[Cu합금]: 염화제2철
[Ni합금]: 질산아세트산

 

 

18. 금속의 소성변형기구

 

- 슬립, 쌍정, 킹크

 

 

19. 아공석강의 조직을 구성하는 상은 페라이트 + 펄라이트이다.

 

 

20. 고용체에서 규칙도(Degree of order)가 1인 것을 완전규칙 고용체라 한다.

 

* 0 : 완전 무질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