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515 금속재료기사>
2021.12.16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1.12.17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1.12.18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1.12.19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1.12.20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61. 나사나 기어 모양의 다이로 소재를 눌러 소재 표면에 다이 모양을 그대로 각인시키는 가공법은 전조 가공법이다.
62. 금속의 결정립 미세화
- 충격 인성을 상승시킨다.
- Hall-Petch 식과 관계가 있다.
- 고장력강에 유효하게 적용 가능하다.
63. 굽힘가공 시 스프링 백(spring back)에 관한 설명
- 강도가 높을수록, 두께가 얇을수록, 굽힘각도가 클수록, 항복응력이 클수록, 소성변형이 클수록 스프링 백이 크다.
- 탄성계수가 크면 스프링 백은 감소한다.
64. 크리프 곡선이 다음과 같을 때 ⓐ 부분에 해당하는 명칭
1차 크리프로 초기 크리프, 천이 크리프로 불린다.
65. 일반적으로 금속의 단결정에서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은 [111]이다.
66. 취성파괴에 관한 Griffith식에 대한 설명
- 표면에너지가 클수록 파괴응력은 증가한다.
- 탄성변형에너지와 표면에너지 개념을 도입하여 균열 전파조건을 제시하였음
- Griffith식은 유리와 같이 매우 취약한 재료에 적용된다.
67. 2원 응력계의 모어 원(Mohr’s circle)의 직경은? (단, τ: 전단응력)
68. 강의 연성-취성 천이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험법은 충격시험이다.
69. 재료 내 최대전단응력이 일정한 값에 이르면 항복이 일어난다는 항복 조건은 Tresca의 항복조건이다.
70. 피로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 적층 결함 에너지를 작게 한다.
71. 균일변형 시 진변형률(ε)과 단면감소율(r)과의 관계
72. 항복점 현상에 대한 설명
- 저탄소강에서 잘 나타나는 현상
- 항복점연신에서 일어나는 변형은 불균일하다
- 침입형 원자와 전위와의 상호작용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
73. 전위에 관한 설명
- 전위는 선결함에 해당
- 칼날전위의 경우 Burgers 벡터와 전위선은 수직이다.
- 전위가 활주할 수 있는 면은 전위선과 Burgers 벡터가 공존하는 면이다.
74. 훅쿠의 법칙 (단, σ:응력(Stress), ε:변형률(Strain), E:영률(Young’s modulus))
σ=E×ε
75. 압출가공에 대한 설명
- 직접 압출을 전방 압출이라 한다.
- 간접 압출을 후방 압출이라 한다.
- 압출력은 간접 압축이 직접 압출보다 작다.
76. 변형시효 현상에 관한 설명
- 항복점 현상과 관련된 현상
- 강도가 증가하고 연성이 감소
- 냉간가공된 금속을 비교적 저온에서 시효 시킨 후 다시 변형시킬 때 나타나는 현상
77. 소성가공에서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을 비교 설명
- 냉간가공보다 열간가공한 것이 단면감소율을 크게 할 수 있다.
78. 나선전위가 한 슬립면에서 활주하다가, 다른 슬립면으로 활주방향을 바꾸어 활주하는 것은 교차슬립이다.
79, 그림의 전위폐곡선(loop)과 관련하여 설명
- A에서의 전위는 칼날전위이다.
- G에서의 전위는 나선전위이다.
- B에서의 전위는 혼합전위이다.
80. 인장시험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 인장강도
- 연신율
- 항복강도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