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515 금속재료기사>
2021.12.16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1.12.17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1.12.18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1.12.19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1.12.20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1. 철강 조직별 경도
시멘타이트 > 마텐자이트 > 베이나이트 > 트루스타이트 > 소르바이트 > 펄라이트 > 오스테나이트 > 페라이드
2. 면심입방격자의 배위수는 12개이다.
BCC : 8
FCC, HCP : 12
3. 순금속의 냉각 곡선에 대한 설명
- 잠열이 발생하면서 응고 진행
- 수평직선부에서 발생되는 열량은 용해 과정에서 흡수된 열량과 관계가 있다.
- 액상→액상+고상→고상 순으로 응고가 일어남
4. 금속의 기본 결정구조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조성 (단 ●는 A원자이며, ○는 B원자, 각 면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A : 25%, B : 75%
5. 고온의 불규칙상태 고용체를 천천히 냉각할 때, 규칙격자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온도의 명칭은 천이온도이다.
6. Fe-Fe3C 상태도에서 ‘δ-Fe+L-Fe→γ-Fe’의 반응은 포정반응이다,
FeC 상태도
- 공석723℃: γ → α + Fe3C
- 공정1030℃: L → γ + Fe3C
- 포정1492℃: L + δ → γ
7. 다음과 같은 A-B-C 3원계 상태도에서 P점의 A성분 농도
8. 다음 그림에서 빗금 친 abc 면의 밀러 지수 (단, 모든 원의 간격은 동일)
abc = 213
(1/2, 1/1, 1/3) x 6
= 362
9. 철의 상과 조직에 대한 설명
- 오스테나이트는 상자성의 성질을 갖는다.
10. 전율고용체의 조건
- 두 금속의 결정구조가 같아야 함
- 두 금속이 액상에서 완전 혼합되어야 함
- 두 금속은 일정한 화학적 유사성이 있어야 함
11. 금속 결함 중 twin은 면결함에 속한다.
12. 각 금속의 상온에서의 결정 구조
Fe : BCC
Co, Zr, Ti : HCP
13. 물의 3중점의 Gibbs 상률은 0이다.
14. 동소변태가 일어나는 금속
Fe: α(BCC) - γ(FCC)
Co: α(HCP) - β(FCC)
Ti: α(HCP) - β(BCC)
15. 금속의 변태점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
- 열분석법
- 전기저항법
- 열팽창법
16. 금속의 재결정에 관한 설명
- 결정 입자가 미세할수록 재결정 온도는 낮아진다.
- 가공 시간이 길수록 재결정 온도는 낮아진다.
- 변형 정도가 작을수록 재결정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온도는 높아진다.
- 고순도의 금속일수록 재결정화가 쉬워 저온의 풀림으로도 재결정 발생
17. 철 합금의 조직에서 복합상으로 구성된 조직
- 과공석 조직
- 펄라이트 조직
- 레데뷰라이트 조직
18. 철강 소재에 침입형 원소로 고용되는 원소는 H, O, N, C이다.
19.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에 해당하는 것
Ni > Mn > C > N 순으로 안정화 효과가 크다. 이는 오스테나이트 영역을 확장시킨다.
나머지 대부분의 원소들은 페라이트 안정화의 원소로 오스테나이트 영역을 축소시킨다.
20. 격자상수가 a=b≠c 이고, 축각이 α=β=γ=90°인 결정계는 정방정계이다.
입방정계(Cubic) : a=b=c , α=β=γ=90°
정방정계(Tetragonal) : a=b≠c , α=β=γ=90°
사방정계(Orthorhombic) : a≠b≠c , α=β=γ=90°
삼사정계(Triclinic) : a≠b≠c , α≠β≠γ≠90°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