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515 금속재료기사>
2021.12.16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1.12.17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1.12.18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1.12.19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1.12.20 - [공부/금속재료] - 210515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21. 고속도 공구강 강재는 SKH이다.
STC : 탄소공구강
STD : 냉간금형강
STS : 합금공구강
SKH : 고속도공구강
22. 층상 펄라이트의 생상과정
㉣→㉠→㉢→㉡
23. 분말야금법의 특징
- 절삭공정의 생략이 가능
- 용해법으로는 만들 수 없는 합금을 만들 수 있다.
- 제조과정에서 용융점까지 온도를 올릴 필요가 없다.
24. 비정질합금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설명
- 결정이방성이 없다.
- 전기저항이 크다
- 가공경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25. 로크웰 경도 시험에서 시험하중의 스케일
B 스케일 : 100kgf
C 스케일 : 150kgf
26. 관, 봉 형태의 황동에서 자연균열(season cracking)의 원인
- 암모니아 또는 그 유도체가 있을 경우
- 산소, 탄산가스, 습기, 수은 및 그 화합물도 촉진함
- 잔류응력
- 외부에서의 인장하중
*방지법
- 도료나 아연도금 실시
- 가공재를 180~250℃로 저온풀림(응력제거풀림)
27. 강의 담금질에 따른 용적변화가 가장 큰 조직은 마텐자이트이다. 이는 급랭으로 BCT구조가 되면서 팽창하기 때문이다.
28. 탄소강에 존재하는 원소 중 Si가 미치는 영향
- 강의 인장강도, 탄성한계, 경도를 크게 한다.
- 연신율과 충격값을 감소시킨다.
- 결정립을 조대화하고 소성을 낮게 하여 냉간가공성이 나빠진다.
-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29. 응고할 때 수축하지 않고 오히려 팽창하는 원소는 Bi이다. 녹은 다음 고체시킬 때 3~3.5% 팽창한다.
30. 아연에 대한 설명
- 조밀육방격자형
- 비중은 약 7.1, 용융점은 약 420℃
- 아연도금용, 전기방식용 양극재료에 사용된다.
- 청색을 띤 백색 금속, 고온 증기압이 높고 비점이 낮은 특성
- 산, 알칼리, Cu, Fe, Sb 등의 불순물은 부식을 촉진시킴
31. 초소성을 얻기 위한 조직 조건
• 입도: 미세립이어야 하며, 결정립의 크기는 수 μm이하이어야 함
• 제 2상의 존재: 초소성온도에서 변형 중에 미세조직을 유지하려면 모상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제 2상이 수 %에서 50% 존재하는 것이 좋음
• 제 2상의 강도: 모상과 같은 경도를 가지며 제 2상의 미세화와 균일한 분포를 유지함
• 입계구조: 모상입계는 고경사각이 좋음
• 입계의 이동: 입계미끄럼에서 응력집중은 3중점과 입계의 장해물에서 일어남 / 입계가 움직이기 쉬우면 입계 전위 또는 원자의 확산이동을 일으켜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음
• 결정립 형상: 결정립 모양은 등축정이어야 함
• 입계의 내인장 분리성: 모상입계가 인장분리하기 쉬어서는 안 됨
32. 강재의 시험 중 조미니 시험의 목적은 경화능 시험이다.
33. 강의 표면처리에서 침탄용 강에 대한 설명
- 침탄은 강의 표면층에 고용한 탄소를 확산시키는 현상으로 저탄소강이어야 한다.
- 표면에 결함이 없어야 한다.
- Cr, Ni, Mo는 침탄량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도 결정입자가 성장하지 않아야 한다.
- 내부는 저탄소강, 표면은 고탄소강 → 담금실 시 표면은 마텐자이트, 내부는 연강
34. 카트리지 황동(Cartridge Brass)에 대한 설명
- 70Cu-30Zn의 가공용 합동의 대표로 판, 봉, 관, 선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자동차동 방열기 부품, 소켓, 탄피, 장식품 등에 사용된다.
* 80Cu-20Zn 합금(톰백)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용 악기 등에 사용, 5~20%Zn의 저아연 합금을 총칭해 톰백이라 부르며 색이 금과 비슷해 모조금으로 사용하며 금박의 대용으로 쓰인다.
35. Sn-Sb-Cu계 합금인 화이트 메탈의 명칭은 배빗(babbit)메탈이라 한다.
- 경도가 Pb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보다 크고 큰 하중에 견디며 충격과 진동에도 잘 견딤
- 내소착성이 있고 열전도도가 커 고속도, 큰 하중의 기계용에 적합하다.
- 고온에서 성능이 크게 나쁘지 않고 유동성과 주조성이 좋아 큰 베어링(축받이)으로 만들기 쉽다.
36. 백주철을 탈탄 열처리하여 순철에 가까운 페라이트 기지로 만들어 연성을 갖는 주철은 백심가단주철이다.
37. P는 특히 상온 이하에 있어 충격값을 급격히 저하시키고 가공 시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 여리고 약한 재질을 만든다. 이를 상온취성이라 하는데, 이를 억제하려면 P의 함량을 0.02%이하로 하면 방지할 수 있다.
38, Ti의 용융점은 약 1668℃이다.
39. 해드필드(Hadfleld)강에 대한 설명
- 하드필드강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망간강이다. 경도가 높아 내마모용 재료로 쓰이고, 고온에서 취성이 생기기 때문에 1000~1100℃에서 수중 담금질하는 수인법(Water Toughing)으로 인성을 부여한다. 용도는 치차, 교차 레일에 쓰이며 내마모성을 요하고 전체가 취성이 없는 재료에 적합하다.
40. 켈멧(Cu-Pb)합금의 특징
- 응고 시 Pb의 진한 용융금속이 저온도까지 남아 편석하기 쉬우므로 좋은 조직을 얻기 위해선 냉각 조건을 적당히 해야한다. Pb합량이 많을수록 피로강도는 낮으나 마모효과는 커진다. 또한 Ni을 넣으면 편석이 억제되는 효과가 생김.
내소착성이 좋고 화이트 메탈보다 내하중성이 커 고하중용 베어링으로 적합해 자동차, 항공기 등의 주베어링으로 쓰인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