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요점정리 및 해설을 해보았습니다.

산업안전기사 시험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는 그날까지 모두 화이팅!

 

구독, 좋아요

저에게 더욱 더 열심히 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됩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90804 산업안전기사 해설>

2021.03.30 - [공부/산업안전기사] - 190804 산업안전기사 안전관리론

2021.03.31 - [공부/산업안전기사] - 190804 산업안전기사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021.04.01 - [공부/산업안전기사] - 190804 산업안전기사 기계위험방지기술

2021.04.02 - [공부/산업안전기사] - 190804 산업안전기사 전기위험방지기술

2021.04.03 - [공부/산업안전기사] - 190804 산압안전기사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2021.04.04 - [공부/산업안전기사] - 190804 산업안전기사 건설안전기술

 

 

 

 

 

 

61. 아래 그림과 같이 인체가 전기설비의 외함에 접촉하였을 때 누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인체 통과 전류(mA)는 약 얼마인가?

 

인체저항을 Rh, 인체 통과 전류를 Ih라 하면
전체 누전 회로는 R3와 Rh가 병렬연결된 복합 저항에 R2가 다시 직렬연결된 구조
R3와 Rh의 복합 저항 R은 1/R = 1/80 + 1/3000 -> R = (80*3000)/(80+3000) = 77.9
다시 R과 R2의 복합저항 Rtotal = 77.9 + 20 = 97.9
Itotal = 220/97.9 = 2.247
R3와 Rh의 복합저항 R에 2.247A의 전류가 흐름
즉 I3 + Ih = 2.247
병렬 복합저항 내부에서 각 저항 별 통과 전류는 저항에 반비례
I3:Ih = 3000:80
80I3 = 3000Ih
I3 = (3000/80) Ih
그런데 I3 + Ih = 2.247 이므로 (1 + (3000/80))Ih = 2.247
(3080/80) Ih = 2.247
Ih = 2.247 * 80 / 3080 = 0.058 즉 58mA

 

 

62. 전기화재 발생의 원인

 

발화원, 경로, 착화물

 

 

63. 사용전압이 380V인 전동기 전로에서 절연저항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2021년부터 개정된 저압 전로의 절연성능
전로 사용전압(V)   DC시험 전압(V)   절연저항(M)
SELV, PELV             250                    0.5
FELV, 500V이하       500                    1.0
500V 초과             1000                   1.0

SELV : 비접지 회로(1차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회로)
PELV : 접지 회로(1차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회로)
FELV : (절연되지 않은 회로)

 

 

64. 정전 에너지를 나타내는 식 (단, Q는 대전 전하량, C는 정전용량이다.)

 

 

65. 누전차단기의 설치가 필요한 것

 

도전성이 높은 장소의 전기기계, 기구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조건]
(1) 이중 절연 구조의 전기기계, 기구
(2) 절연대 위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3) 비접지 방식의 전로의 전기기계, 기구

 

 

66. 동작 시 아크를 발생하는 고압용 개폐기, 차단기, 피뢰기 등은 목재의 벽 또는 천장 기타의 가연성 물체로부터 1m 이상 떼어놓아야 한다.

 

 

67. 6600/100V, 15 kVA의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저압 전선로의 허용 누설전류는 몇 A를 넘지 않아야 하는가?

 

누설전류 = (용량(kVA) x 10^3 / 2차 측 저압)/2000     여기서 2000은 누설전류 허용치는 1/2000
누설전류 = 15 x 10^3  /  100 x 2000    = 0.075 [A]

 

 

68. 이동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 등에 제1종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접지선 중 가요성을 요하는 부분의 접지선 종류와 단면적의 기준

 

접지 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 접지(1종, 2종, 3종, 특 3종) 폐지(’ 21 시행)

 

 

69. 정전기 발생에 대한 방지대책

 

(1) 가스용기, 탱크 등의 도체부는 전부 접지한다.

(2) 배관 내 액체의 유속을 제한한다.

(3) 대전 방지제 또는 제전 기를 사용한다.

(4) 제전복을 착용한다.

 

 

70. 정전기의 유동 대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액체의 유동 속도이다.

 

 

71. 과전류에 의해 전선의 허용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절연물이 화구가 없더라도 자연히 발화하고 심선이 용단되는 발화 단계의 전선 전류밀도(A/㎟)는?

 

인화 단계: 40~43 A/㎟
착화 단계: 43~60
발화 단계: 60~120
순간 용단: 120~

 

 

72. 방폭구조에 관계있는 위험 특성

 

발화 온도, 화염 일주 한계, 최소 점화 전류

 

 

73. 금속관의 방폭형 부속품에 대한 설명

 

(1) 재료는 아연도금을 하거나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강 또는 가단주철일 것

(2) 안쪽 면 및 끝부분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않도록 매끈한 것일 것

(3) 전선관과의 접속 부분의 나사는 5턱 이상 완전히 나사 결합이 될 수 있는 길이일 것

(4) 완전품은 내압방폭구조의 폭발 압력(기준 압력) 측정 및 압력시험에 적합할 것

 

 

74. 접지의 목적과 효과

 

(1) 낙뢰에 의한 피해방지

(2) 송배전선에서 지락사고의 발생 시 보호계전기를 신속하게 작동시킴

(3) 설비의 절연물이 손상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 방지

(4) 지락사고 시 대전 전위 억제 및 절연 강도를 경감시킨다.

 

 

75. 방폭 전기설비의 용기 내부에 보호가스를 압입 하여 내부 압력을 외부 대기 이상의 압력으로 유지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폭발성가스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폭구조는 압력 방폭구조이다.

 

 

76. 각종 위험장소의 분류

 

0종 장소 : 장기간, 연속적, 항상 존재 - 용기, 장치 내부
1종 장소 : 자주 존재 - 맨홀, 벤트 등의 주위, 개구부
2종 장소 : 가끔, 단기간 - 개스킷 주위 등

 

 

77. 기중 차단기의 기호는 ACB이다.

 

(1) VCB (진공차단기)
(2) MCCB (배선용 차단기)
(3) OCB (유입 차단기)
(4) ACB (기중차단기)

 

 

78. 누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취약 개소

 

(1) 나선으로 접속된 분기회로의 접속점

(2) 전선의 열화가 발생한 곳

(3) 리드선과 단자와의 접속이 불량한 곳

 

 

79. 지략 전류가 거의 0에 가까워서 안정도가 양호하고 무정전의 송전이 가능한 접지방식은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이다.

 

·병렬 공진에 의해 지략 전류 소멸 가능
·안정도가 높다
·지락 전류가 없어 유도 장해가 없다

 

 

80. 피뢰기가 갖추어야 할 특성

 

(1) 반복 동작이 가능할 것
(2) 구조가 견고하며 특성이 변하지 않을 것
(3) 점검 보수가 간단할 것
(4) 충격 방전 개시 전압과 제한 전압이 낮을 것
(5) 뇌 전류의 방전 능력이 크고 속류의 차단이 확실할 것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