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525 금속재료기사>
2022.01.25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2.01.26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2.01.27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2.01.28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2.01.29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61. 분산강화 및 석출강화에 대한 설명
- 금속기지 속에 미세하게 분산된 불용성 제2상으로 인하여 생기는 강화를 분산강화라 한다.
- 석출입자에 의한 강화에서 석출물의 강도와 그 분포가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 Orowan 기구는 과시효된 석출 경화형 합금의 강화기구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
62. 금속의 변형기구에 대한 설명
- 슬립에 의한 변형에서 슬립면은 치밀하게 원자가 배열된 결정면이 주로 된다.
- 고온에서 변형 할 경우 저온에서 나타나지 않는 슬립면이 나타날 수 있다.
- 쌍정에 의한 변형은 변형 후 경면관계를 이루는 조건 때문에 큰 소성변형이 불가능하다.
63. 나사나 기어 모양의 다이로 소재를 눌러 소재 표면에 다이 모양을 그대로 각인시키는 가공법은 전조가공법이다.
64. 어떤 재료의 전단탄성계수(G)를 프와송의 비(v) 및 영율(E)로 나타낸 식
65. 단조 가공법에서 재료의 중심부까지 변형을 일으키는 단조방법은 프레스 단조이다.
66. 항복인장강도가 86.6kgf/mm²인 철강재료가 다음과 같은 응력상태에 있을 때 변형에너지 이론에 의한 주응력 σ₁의 값은 약 100kgf/mm²이다. (단, σ2=σ1/2, σ3=0 이다.)
67. Hall-Petch 식으로 설명되는 재료의 강화기구는 결정립계에 의한 강화이다.
68. 두 개의 나선전위가 수직으로 교차할 때 각 전위에는 양쪽 모두에 칼날전위의 조그가 발생한다.
69. 피로 강도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시편 표면의 긁힌 자국이 주 인장 응력의 방향과 0º를 이룰 때 이다.
70. 연강의 인장 시험 시 네킹(necking)현상은 최대하중에서 발생하기 시작한다.
71. 바우싱거 효과(Bauschinger effect)를 설명
- 비틀림 변형의 경우에서 명백히 관찰된다.
-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이 이력(hysteresis)과 관계까 있다.
- 응력의 변화가 작은 경우 바우싱거 효과는 무시될 수 있다.
72. 어떤 재료의 단일축 항복응력이 35kgf/mm²이다. 이 재료를 순수전단 변형시킬 경우 Von Mises 항복조건이 성립된다고 가정하면 순수전단 항복강도는 20.2kgf/mm²이다.
73. 냉간가공 시 재료에 나타나는 특징
- 전위밀도가 증가하여 강도가 커지며, FCC는 BCC보다 경화가 크다.
- 냉간가공으로 생긴 압축잔류응력은 피로 강도의 형상에 효과적이다.
- 결정이 회전하여 결정면이나 방향이 고르게 되므로 이방성의 집합조직이 나타난다.
74. 압연 작업에서 압하율을 크게하는 방법
- 지름을 큰 롤을 사용한다.
- 압연재의 온도를 높여준다.
- 롤 측에 평행인 홈을 롤 표면에 만든다.
75. 샤르피(Charpy) 충격시험기에서 충격에너지(E)를 구하는 식 (단, W는 해머의 무게, R은 해머의 회전축 중심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 α는 해머의 들어 올린 각도, β는 시험편 파단 후 해머가 올라간 각도이다.)
- E = WR(cosβ - cosα)
76. 완전탄성 응력-변형률 곡선
77. 금속의 강화 중에서 저온에서는 유효하지만 고온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는 강화 방법은 석출강화이다.
78. Nabarro Herring 크리프는 확산 크리프와 관련있다.
79. 주석울음(tin-cry)현상은 쌍정변형에 속한다.
80. 전위에 대한 설명
- 이중교차슬립(double cross slip)은 전위원이 될 수 있다.
- 교차 슬립이 용이한 경우에는 슬립선(slip line)이 파상이 된다.
- 나사(screw)전위는 교차슬립을 할 수 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