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40525 금속재료기사>

2022.01.25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2.01.26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2.01.27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2.01.28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2.01.29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41. 내부에너지 40kJ, 절대압력이 200kPa, 체적이 0.1m3, 절대온도가 300K인 계의 엔탈피는 약 60kJ이다.

 

 

42. [보기]와 같은 조건에서 금속 M의 정산 녹는 온도

- 860K

 

 

43. 내화물에 대한 설명

 

- SiO₂는 산성 성분이다.

- 마그네시아는 염기성 성분이다.

- 내화재는 SK 26번 이상의 내화도를 가진 것으로 규정한다.

 

 

44. 탄소 36kgf이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CO₂ 가스의 체적(Nm³)

 

- 67.2Nm³

 

 

45. C-O계 반응에서 부두아 곡선에 대한 설명

 

- CO₂+C → 2CO은 carbon solution 반응이다.

- carbon solution 반응은 고온에서 일어나므로 반응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 고압 조업을 하면 carbon deposition 반응이 활성화되어 걸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46. 밀폐된 계에서 비가역 반응이 일어날 때 엔트로피한 변화 ΔS는 ΔS > 0 경우에 해당한다.

 

 

47. 어떤 반응의 1000K에서 표준 자유에너지변화(ΔG°)가 50000J/mole로 측정 되었고, 이 때의 실험오차가 ±5% 였다고 한다면, 이로 인해 1000K에서의 평형상수에 나타나는 오차는 약 30%이다.

 

 

48. 탄소(C(s))가 산화하여 이산화탄소(CO2(g))가 되는 반응C(s)+O2(g)=CO2(g)의 표준 깁스자유에너지변화(ΔG°)는 [보기]와 같이 절대온도 T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보기]의 반응은 어떠한 반응이며, 각 성분이 순수한 경우 1000K에서 어느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는가?

 

- 반응 : 발열반응, 방향 : 정방향

 

 

49. 미세한 분광을 드럼 또는 디스크에서 입상화한 후 소성 경화해서, 달걀의 노른자 크기의 광을 얻는 괴상법으로 단광과 소결을 합한 방법은 Pelletizing이다.

 

 

50. 이상기체의 성질

 

- PV = nRT

 

 

51. 활동에 관한 헨리(Henry)의 법칙 ai=kiNi를 만족하는 용액에서 활동도 계수 ki는 일정하다.

 

 

52.

반응에서 ΔG°=-361700+76.68T(Q) 반응식의 각 기체가 이상기체라고 가정하면 1000K에서 표준 내부에너지변화(ΔU°) 값은 -357543J이다.

 

 

54. 내화재가 가져야 하는 여러 가지 특성 중 전로용 내화물이 급격한 온도 변화에 견디기 위해서는 내스폴링성이 요구된다.

 

 

55. 열량에 대한 설명

 

- 기체연료의 연소열은 1m³을 완전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열량을 말한다.

 

 

56. 이상용액에 대한 설명

 

- 이상용액의 각 성분의 혼합열은 0 이다.

- 라울(Raoult)의 법칙이 모든 농도와 온도에서 적용되는 용액이다.

- 이상용액의 부피는 혼합하기 전의 순수한 성분들이 갖는 부피합과 같다.

 

 

57. 열전도율의 단위

 

- kcal/mㆍhㆍ℃

 

 

58. 에너지의 모든 형태가 가지는 인자의 내용

 

- 에너지의 양은 2개의 인자의 적으로 얻어진다.

- 전기에너지는 전위차의 전하량을 곱한 것으로 나타낸다.

- 에너지량은 시강인자(intensity factor)와 시량인자(capacity factor)의 곱으로 표현 가능하다.

 

 

59. 엔트로피(entropy)의 값으로 알 수 있는 사항

 

- 불규칙 정도(degree of randomness)

- 비가역정도(irrenersibillity)

- 화학적 반응의 자발적 영향(direction of process)

 

 

60. 보조함수, 맥스웰(Maxwell)관계식, 변화공식 등의 가장 큰 장점

 

- 열역학적 상태식을 실험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