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525 금속재료기사>
2022.01.25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2.01.26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2.01.27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2.01.28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2.01.29 - [공부/금속재료] - 140525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1. 용질원자와 용매원자가 규칙격자로 되면 연성이 나빠진다.
2. 다형(Polymerphism)
- 원소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것
3. 금속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 고용강화
- 석출강화
- 분산강화
4. 강의계면(interface)에 대한 설명
- 원자간 결합에너지가 클수록 계면에너지가 크다.
- 계면에너지가 작은 면의 성장속도는 느리다.
- 정합 계면을 가진 석출물은 성장하면서 정합성을 상실할 수 있다.
5. 침입형고용체
C, H, N, B, O
6. 냉간가공된 순수한 구리를 상온에서 고온으로 서서히 연속적으로 가열할 때 가장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은 재결정이다.
7. 깁스의 상율에서 순수한 물이 불변점(invariantpoint)에서 갖는 자유도는 0이다.
8. 마텐자이트(martensite)가 경도가 큰 이유
- 급냉으로 인한 내부응력 때문
9. 고강도 저합금강(High Strength Low Alloy Steel)에서 강도에 기여하는 강화기구
- 석출경화
- 고용강화
- 입자 미세화 강화
10. 0.5% Wt 탄소강이 A₁선 직상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미세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상 성분의 양 (단, α의 탄소함유량은 0.025%, 공석점의 탄소함유량은 0.8%이다.)
- 페라이트 39%, 오스테나이트 61%
11. 금속격자에서 전연성이 가장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은 격자는 면심입방격자이다.
12. Decorate나 X-선 회절법에 의하여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전위이다.
13. 금속의 일반적 성질
- 열에 양도체이다.
- 고유 광택을 갖는다.
- 전성 및 연성을 갖는다.
14. 전율고용형 상태도는 나타내는 합금은 Cu-Ni이다.
15. 금속 합금에서 고용강화가 재료의 특성에 미치는 방향
- 합금의 전기전도도는 순수한 금속보다 훨씬 작다.
- 대부분의 합금의 연성은 순수한 금속보다 더 작다.
- 합금의 항복강도, 인장강도는 순수한 금속보다 더 크다.
16. 고용체에서 규칙도(Degree of order)가 1인 것은 완전규칙 고용체라 한다.
17. 열평형 상태하에서 존재 가능한 결함으로서 쇼트키(Shottky)결함이라고 하는 것은 공공(vacancy)이다.
18. 다음 그림은 A-B-C 3원 합금계이다. 그림에서 P 합금 중의 A의 농도를 Roozeboom법에 의해 옳게 나타낸 것
19. 순철의 동소변태에 대한 설명
- 비중의 변화가 일어남.
- 결정구조의 변화가 일어남.
- 성질변화는 일정한 온도에서 급격히 비연속적으로 일어남.
20. 포정반응이 공정반응보다 응고속도가 대단히 느린 가장 큰 이유
- 고체 내 확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