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04 금속재료기사>
2021.12.26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1.12.27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1.12.28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1.12.29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1.12.30 - [공부/금속재료] - 190804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61. BCC 결정 {110}의 면간 거리 (단, a는 격자 상수이다.)
62. 접촉하고 있는 두 개의 표면이 상대적으로 반복운동을 할 때, 표면이 손상되는 현상은 프레팅이다.
63. 샤르피 충격시험기에서 충격에너지(E)를 구하는 식
E=WR(cosβ-cosα)
64. 압연할 때 롤과 재료와의 접촉면에서 롤의 곡률반경이 증가하는 현상을 롤 편평화라고 한다.
65. 공정 스트레인(ε0)과 진 스트레인(ε)의 관계
ε= ln(1+ε0)
66. 금속기지 속에 미세하게 분산된 불용성 제2상으로 인하여 생기는 강화는 분산강화이다.
67. 크리프 강도가 높은 재료가 갖추어야 할 조건
- 조대한 경정립
- 높은 융점
- 높은 격자저항
68. 열간가공의 장점
- 기공이 적어진다.
- 가공 시 필요 에너지가 감소된다.
- 조대한 주상정조직이 파괴된다.
69. 결정입자 미세화 강화에 대한 설명
- 결정입계는 전위의 운동을 방해하는 장애물로서 결정입자가 미세할수록 강도가 커진다.
70. 후크의법칙 (단, σ는 응력이고, E는 탄성계수이고, ε는 스트레인이다.)
'
71. 압연재가 롤 사이를 통과할 수 잇는 조건 (단, μ = 마찰계수, α = 접촉각)
μ ≥ tanα
마찰각 > 접촉각 = 압연 가능
마찰각 < 접촉각 = 미끄러짐
72. 칼날전위의 전위선과 버거스 벡터가 이루는 각은 90도이다.
73. 취성파괴의 특징
- 균열의 전파속도가 빠르다.
- 이온결정의 벽개파괴와 유사하다.
- 미소 소성변형이 거의 없는 빠른 균열전파에 의한 파괴이다.
74. 고용강화에서 전위와 용질원자 사이의 상호작용기구
- 원자크기 차이에 의한 탄성적 상호작용
- 탄성계수 차이에 의한 상호작용
- 단번위 규칙도 배열에 의한 상호작용
75. 길이가 1m인 알루미늄 봉의 길이를 2m로 늘렸을 때 진 변형률
변형률은 = [변형된 길이의 양/ 원래길이 ] 이다.
진변형률은 = In (1+변형률) 이다.
이때 길이가 1m 변했으므로 변형률은 [1/1 = 1] 이다
진변형률은 In(1+1) = 0.6931471806 이다
76. 재료의 고온강도를 높이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분산강화이다.
77. 압연작업에서 압하량을 크게하는 조건
- 큰 롤러
- 고온
- 회전속도 감소
- 압연재 뒤에서 밀어줌
- 롤러 표면에 평행한 홈을 만든다.
78. 금속 슬립에 대한 설명
- FCC 금속에서 슬립면은 {111}, 슬립방향은 <110>이다.
- BCC 금속에서 슬립면은 {110}, 슬립방향은 <111>이다.
- FCC 금속에서 슬립계의 수는 12개이다.
79. 재료를 가공할 때 변형 저항을 높이는 요인
- 전위밀도, 용질원자, 결정립계
80. Nabbarro Herring 크리프는 확산크리프와 관련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