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요점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위험물 산업기사 시험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는 그날까지 모두 파이팅!
구독, 좋아요
저에게 더욱더 열심히 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됩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80304 위험물산업기사>
2021.11.21 - [공부/위험물산업기사] - 180304 위험물산업기사 일반화학
2021.11.22 - [공부/위험물산업기사] - 180304 위험물산업기사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2021.11.23 - [공부/위험물산업기사] - 180304 위험물산업기사 위험물의 성질과 취급
21.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상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물질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는 탄산수소염류분말소화기이다.
22. 할로겐화합물 청정 소화약제 중 HFC-23의 화학식은 CHF₃이다.
23. 질식 효과를 위해 포의 성질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
(1) 화재면과 응집석, 부착성이 있어야 하고 안정성이 있어야 함.
(2) 유동성이 있어야 함
*포에 기화성이 좋을 경우 금방 기화돼버려 질식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24. 화재 분류
(1) A급 화재 (백색) - 일반화재
(2) B급 화재 (황색) - 유류화재
(3) C급 화재 (청색) - 전기화재
(4) D급 화재 - 금속 화재
25. 수소의 공기 중 연소범위에 가장 가까운 값은 4.0 ~ 74.5vol%이다.
26. 마그네슘 분말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와 반응하여 생성될 수 있는 유독 기체의 분자량은?
2Mg+Co₂ → 2 MgO+2C
Mg+Co₂ → MgO+CO
이렇게 반응식이 나오는데 C는 가연성 물질이고
CO는 유독성 물질 이므로 12+16=28
27.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상 옥내소화전 설비의 설치기준에 따르면 수원의 수량은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옥내소화전 설치개수(설치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에는 5개)에 7.8㎥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8. 물이 일반적인 소화약제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
(1) 증발 잠열이 크기 때문에 냉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2) 비교적 쉽게 구해서 이용이 가능하다.
(3) 펌프, 호스 등을 이용하여 이송이 비교적 용이하다.
29. CO₂에 대한 설명
(1) 무색, 무취 기체로서 공기보다 무겁다.
(2) 물에 용해 시 약 산성을 띤다.
(3) 농도에 따라서 질식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다.
(4) 상온에서도 압력을 가해 액화시킬 수 있다.
30. 물리적 소화에 의한 소화효과(소화방법)
(1) 제거 효과
(2) 질식 효과
(3) 냉각 효과
*억제 효과는 화재가 연소할 시 연쇄반응을 억제하여 화재의 확대를 멈추는 것이므로 화학적 소화에 속함
31.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상 간이소화용구(기타소화설비)인 팽창질석은 삽을 상비한 경우 160L가 능력단위 1.0이다.
3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소화설비의 구분에서 물분무등 소화설비에 속하는 것은 포소화설비이다.
33. 가연성 고체 위험물의 화재에 대한 설명
(1) 적린과 유황은 물에 의한 냉각소화를 한다.
(2) 금속분, 철분, 마그네슘이 연소하고 있을 때에는 주수 해서는 안 된다.
(3) 금속분, 철분, 마그네슘, 황 화린은 마른 모래, 팽창 질석 등으로 소화한다.
(4) 금속분, 철분, 마그네슘의 연소 시에는 산소가 발생되어 물과 접촉 시 수소와 유독가스가 발생된다.
34. 과산화 칼륨이 다음과 같이 반응하였을 때 공통적으로 포함된 물질(기체)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
(1) 가열하여 열분해 하였을 때 : 2K2O2 → 2K2O + O2
(2) 물(H₂O)과 반응하였을 때 : 2K2O2 + 2H2O → 4KOH + O2
(3) 염산(HCl)과 반응하였을 때 : K2O2 + 2HCl → 2KCl + H2O2
(4) 이산화탄소(CO₂)와 반응하였을 때 : 2K2O2 + 2CO2 → 2K2CO3 + O2
35. 보통의 포소화약제보다 알코올형 포소화약제가 더 큰 소화효과를 볼 수 있는 대상물질
알코올형 포소화약제는 수용성을 띄므로 메틸알코올과 같은 수용성이 높은 물질에 소화하면 포소화약제에 비해 가연물이 희석되어 효과적이다.
36. 연소의 3요소 중 하나에 해당하는 역할이 나머지 셋과 다른 위험물
(1) 과산화수소
(2) 과산화나트륨
(3) 질산칼륨
(4) 황린
연소의 3요소 - 산소 공급원, 가연물, 점화원
과산화수소, 과산화나트륨, 질산칼륨은 산소 공급원이며, 황린은 가연물이다.
37.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상 전역 방출 방식 또는 국소 방출 방식의 불활성 가스소화설비 저장용기의 설치기준
(1) 온도가 40℃ 이하이고 온도 변화가 적은 장소에 설치할 것
(2) 저장용기의 외면에 소화약제의 종류와 양, 제조년도 및 제조자를 표시할 것
(3) 직사 일광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적은 장소에 설치할 것
(4) 전역 방출 방식 또는 국소 방출 방식의 불활성 가스소화설비 저장용기는 방호구역 외의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38. 칼륨, 나트륨, 탄화칼슘의 공통점
물과 반응하면 가연성 가스를 발생한다. (칼륨, 나트륨은 수소 발생하며 탄화칼슘은 아세틸렌이 발생한다.)
39. 공기포 발포 배율을 측정하기 위해 중량 340g, 용량 1800mL의 포 수집 용기에 가득히 포를 채취하여 측정한 용기의 무게가 540g이었다면 발포 배율은? (단, 포 수용액의 비중은 1로 가정한다.)
발포 배율(팽창 비) = 내용적(용량) / (전체 중량 - 빈 시료 용기의 중량)
발포 배율 = 1800 / (540 - 340) = 9배
40.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저장소 건축물의 외벽이 내화구조인 것은 연면적의 150m² 를 1 소요 단위로 한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