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328 금속재료기능장>
2022.04.14 - [공부/금속재료] - 100328 금속재료기능장 part.1
2022.04.15 - [공부/금속재료] - 100328 금속재료기능장 part.2
2022.04.16 - [공부/금속재료] - 100328 금속재료기능장 part.3
21. 와전류탐상검사에서 시험코일을 시험체에 대한 적용방법에 따라 분류
- 관통형 코일
- 내삽형 코일
- 표면형 코일
22. 원자가가 2가인 금속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내화재로 마그네시아와 산화크롬의 양자를 성분으로 하는 내화재는 염기성 산화재이다.
23. MT 검사 방법 중 완전 가공제품의 표면검사에는 프로드법이 부적합하다.
24. 용제제거성 염색 침투탐상검사의 순서
- 전처리 → 침투처리 → 제거처리 → 현상처리 → 관찰 → 후처리
25. UT에서 탐촉자의 주파수 선택에 관한 설명
- 탐촉자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보다 작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 입자가 미세한 단조품의 탐상주파수는 2~6MHz 범위가 적당하다.
26. 강에서 인(P) 및 황(S) 편석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부식액은 헨(heyn)부식액이다.
27. 공장 자동화의 형태
- 고정 자동화
- 유연 자동화
- 프로그램 가능 자동화
28. 퀜칭을 잘 하였는데도 경화가 되지 않았다면 그 이유
- 급냉이 불충분한 경우
- 처리품이 표면이 탈탄되어 있는 경우
- 오스테나이트화 온도가 불충분한 경우
29. 스테인리스강의 열처리에 관한 설명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풀림처리는 700~900℃ 가열 후 공냉한다.
-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완전풀림 처리는 850~900℃이고, 냉각속도는 30℃/hr 이하로 한다.
- 오스테ㅏ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감소는 800~900℃의 온도에서 2~4시간 유지 후 수냉 또는 공냉으로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30. 동 및 동합금에 대한 설명
- 구리와 아연의 평형상태도에서는 6개의 상이 나타남
- 구리에 아연이 고용한 α상의 결정구조의 면심입방격자이다.
- 연수에서 CO₂, 산소의 용해량이 많아지면 부식률이 높아진다.
31. 탄소강에서의 Mn 영향
- 고온에서 결정립 성장을 억제시킨다.
32. 구리 및 구리 합금의 열처리에 대한 설명
- α+β 황동을 재결정 풀림과 담금질 열처리를 한다.
- α 황동은 700~730℃ 온도에서 재결정 풀림을 한다.
- 순동은 재결정 풀림을 하고, 재결정 온도는 약 270℃이다.
33. 0.8%C 강을 오스테나이트 구역으로 가열한 후 항온 열처리할 때 변태속도가 가장 빠른 부분의 온도는 550℃부근이다.
34. 형상기억 합금의 종류
- Ti-Ni 합금
- Cu-Al-Ni 합금
- Cu-Zn-Al 합금
35. 가스질화법에 대한 설명
- 철과 질소의 화합물은 Fe₂N, Fe₃N, Fe₄N 등이 있다.
- 암모니아 가스는 순도가 높고 조성변동이 적으며 질화대상 재료에 침식 등이 없어야 한다.
- 질화용강은 질소와 친화력이 강한 Cr, Al, Mo, V 등이 함유된 것을 사용한다.
36. 열처리의 냉각 방법의 3형태
- 연속 냉각
- 2단 냉각
- 항온 냉각
37. 연천인율의 공식
38. 감전방지를 위한 유의사항
- 신체, 의복 등에 물기가 없도록 할 것
- 홀더, 케이블, 용접기의 절연과 접속을 완전히 할 것
- 절연이 좋은 장갑과 신발 및 작업복을 사용할 것
39. 쾌삭강(free cutting steel)에서 피삭성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원소는 Pb이다.
40. 비틀림 시험에 대한 설명
- 비틀림 시험의 주목적은 재료에 대한 강성계수와 비틀림 강도 측정에 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