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509 금속재료기사>
2022.02.14 - [공부/금속재료] - 100509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2.02.15 - [공부/금속재료] - 100509 금쇽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2.02.16 - [공부/금속재료] - 100509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2.02.17 - [공부/금속재료] - 100509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2.02.18 - [공부/금속재료] - 100509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61. 회복 및 재결정 단계에서 기계적 성질과의 관계를 설명 한 것
- 전기저항은 회복의 과정에서 서서히 감소함
- 경도는 회복의 과정에서 별로 변하지 않고 재결정의 단계에서 급격히 감소함
- 연신율은 회복의 과정에서 별로 변하지 않고 재결정의 단계에서 급격히 증가함
62. 파괴거동의 입장에서 금속재료의 취성파괴에 해당하는 것은 Cleavage이다.
63. 전위선을 반경 R의 곡선으로 구부리는데 필요한 전단응력 τ는 Gb/2R이다. (단, G는 강성율, b는 버거스 벡터, E는 탄성계수이다.)
64. 전기 케이블에 납을 피복하고자 할 때 압출가공법을 사용한다.
65. 나선전위가 한 슬립면에서 활주하다가, 다른 슬립면으로 활주방향을 바꾸어 활주하는 것은 교차슬립이다.
66. 응력의 상태가 다음과 같을 때 주응력 10을 제외한 나머지 2개의 주응력은?
- 17.5±4.72
67. 열간가공의 특징
- 가공경화가 쉽게 제거됨
- 총 변형량이 냉간가공에 비해 훨씬 큼
- 주조상태보다 인성과 연성이 증가함
68. 압연할 때 롤과 재료와의 접촉면에서 롤의 곡률반경이 증가하는 현상을 롤 평평화라 한다.
69. 인장시험에서 재료의 소성변형거동 중 균일신장이 일어나는 곳
- 탄성한계, 항복점, 최대하중점
70. 일반적인 형단조의 특징
- 소재의 유동에 의하여 강인한 섬유상 조직을 얻을 수 있다.
71. 재료 내 3개의 최대전단응력 중 어느 것인가 하나의 절대값이 일정값에 이르렀을 때 항복이 생긴다는 조건은 Tresca의 항복조건이다.
72. 샤르피(Charpy)충격시험기에서 충격에너지(E)를 구하는 식(단, W는 해머의 무게, R은 해머의 회전축 중심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 α는 해머의 들어 올린 각도, β는 시험편 파단 후 해머가 올라간 각도이다.)
- E = WR(cosβ - cosα)
73. 어닐링쌍정(Annealing twin)과 변형쌍정(mechanical twin)을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할 때 그 차이점
- 어닐링쌍정은 변형쌍정보다도 폭이 넓고 측면이 곧다.
74. 취성파괴에 대한 griffith이론을 설명한 것
- 취성 재료 속에는 많은 미세균열이 있음
- 균열이 취성파괴로 발전하면 그 균열 양쪽 면적이 증가함
- 균열이 전파하려면 균열의 전파로 인한 탄성 변형에너지의 감소가 적어도 새로운 균열면을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같아야 함
75. 상온에서 큰 소성변형을 받은 재료를 어닐링하면 재결정이 일어나는 데, 이 때의 구동력은 축적에너지이다.
76. 전위와 점결함의 상호작용
- 점결함과 전위와의 상호작용 에너지가 음의 값을 가지면 인력이 작용하고, 양의 값을 가지면 척력이 작용한다.
77. 가공경화에 대한 설명
- BCC 금속이 HCP 금속보다 가공경화가 더 잘일어남
- 가공경화는 전위의 집적 또는 전위의 교차에 의해서 일어남
- 거용체가 순수한 금속보다 반드시 가공경화가 더 잘 일어난다고는 말할 수 없음
78. 석출경화에 대한 Orowan의 이론은 전위 loop를 남기는 by-pass 과정이다.
79. 고온크리프 변형 기구에 해당하는 것
- 전위의 상승
- 결정립계의 미끄럼
- 공공의 확산
80. 전단가공(shearing)할 때 punch와 dies의 간격에 대한 설명
- 간격이 너무 작으면 고르지 않아 파단면을 가짐
- 간격이 너무 크면 둥그스런 파단면(burr)을 가짐
- 경하고 강한 재료에서는 간격을 작게 함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