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612 금속재료기사>
2022.02.09 - [공부/금속재료] - 110612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2.02.10 - [공부/금속재료] - 110612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2.02.11 - [공부/금속재료] - 110612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2.02.12 - [공부/금속재료] - 110612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2.02.13 - [공부/금속재료] - 110612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1. 편정반응(Motnotecticreaction)
- L(액상) ⇔ G(고상)+H(액상)
2. 냉간가공된 순수한 구리를 상온에서 고온으로 서서히 연속적으로 가열할 때 가장 많은 애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은 재결정이다.
3. 열간 인발한 알루미늄의 횡단면 조직을 관찰한 결과 중심부에는 매우 미세한 결정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가장자리는 현저한 조대입자의 생성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원인과 방지대책
- 원인 : 불균일한 변형도
- 대책 : 인발도 증가
4. 금속의 응고시 핵생성 속도를 N, 결정 성장속도를 G로 표시할 때의 설명
- G가 N보다 빨리 증가할 때는 결정립이 조대화됨
- N이 0(zero)에 접근하고, G가 증가되면 비정질을 얻을 수 있다.
- N이 G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할 때 결정립이 미세화 됨
5. 체심입방정(BCC), 면심입방정(FCC), 조밀육방정(HCP) 결정구조의 원자 충전율과 배위수 (단, 조밀육방정의 축 비(c/a)는 1.633이다.)
BCC - 충전율 : 68%, 배위수 : 8
FCC - 충전율 : 74%, 배위수 : 12
HCP - 충전율 : 74%, 배위수 : 12
6. 인장시편의 초기 단면적이 78mm²이다. engineering train이 0.3일 때 단면적은 60mm²이다.
7. 이온결합 고체내에서 발생하는 쇼트키(schottky) 결함은 점결함에 속한다.
8. 깁스의 상율에서 순수한 물이 불변점(invariant point)에서 갖는 자유도는 0 이다.
9. 소성변형 후 풀림처리 하였을 때 Al는 쌍정이 나타나지 않는다.
* Cu, Ag, Au는 쌍정이 나타남
10. FCC 결정구조에서 (111)이 가장 큰 원자밀도를 가진 면이다.
11. 순금속과 달리 합금의 응고 조직성장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세포형 성장이다.
12. 재결정 과정중에 일어나는 현상
- 전위가 감소되어 경도는 저하하나 연신율은 증가함
13. 금소깅 합금이 되었을때 일반적으로 강화되는것은 응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14. 다음 그림에서 빗금친 abc면의 밀러지수

- (362)
15. 치환형 고용체의 경우 용질원자와 용매원자의 치환이 난잡하게 일어난다고 하면 고용체 격자정수의 값은 용질원자의 농도에 비례하게 되는데, 이 관계의 법칙을 베가드의 법칙이라 한다.
16. 오스테나이트는 강자성의 성질을 갖지 않는다.
17. 확산속도의 대소관계 (단, 빠른것부터 느린순서)
- 표면확산 > 입계확산 > 격자확산
18. 축 길이가 a = b ≠ c 이고, 축각이 α = γ = 90°, β = 120°인 결정정계는 육방정계(hexagonalsystem)이다.
19. 합금이 규칙격자를 형성하였을 때 나타나는 성질
- 경도 증가, 연성 감소, 강도 증가
20. 입방정의 면지수와 방향지수가 서로 직교하는 것은 (100)과 [100]이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