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요점정리 및 해설을 해보았습니다.
산업안전기사 시험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는 그날까지 모두 화이팅!
구독, 좋아요
저에게 더욱 더 열심히 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됩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70305 산업안전기사>
2021.08.19 - [공부/산업안전기사] - 170305 산업안전기사 안전관리론
2021.08.20 - [공부/산업안전기사] - 170305 산업안전기사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021.08.21 - [공부/산업안전기사] - 170305 산업안전기사 기계위험방지기술
2021.08.22 - [공부/산업안전기사] - 170305 산업안전기사 전기위험방지기술
2021.08.23 - [공부/산업안전기사] - 170305 산업안전기사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2021.08.24 - [공부/산업안전기사] - 170305 산업안전산업기사 건설안전기술
101.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난간 등의 설치가 매우 곤란하거나 작업의 필요상 임시로 난간 등을 해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추락방호망이다.
102. 지반조사의 목적
(1) 토질의 성질 파악
(2) 지층의 분포 파악
(3) 지하수위 및 피압수 파악
(4)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함
103. 풍화암의 굴착면 붕괴에 따른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굴착면의 적정한 기울기 기준
보통 흙
습지 1:1 ~ 1:1.5
건지 1:0.5 ~ 1:1
풍화암 1:0.8
연암 1:0.5
경암 1:0.3
104. 크레인 등 건설장비의 가공전선로 접근 시 안전대책
(1) 안전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작업한다.
(2) 장비의 조립, 준비 시부터 가공전선로에 대한 감전 방지 수단을 강구한다.
(3) 장비 사용 현장의 장애물, 위험물 등을 점검 후 작업계획을 수립한다.
105.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불도저, 스크레이퍼, 항타기
타워크레인은 양중기에 해당한다.
106.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따른 공사 종류별 계상기준 (단, 철도ㆍ궤도 신설공사이고, 대상액이 5억 원 미만인 경우)
일반건설공사(갑) 5억 미만 2.93% 5억~50억 미만 1.86% 50억 이상 1.97% |
일반건설공사(을) 5억 미만 3.09% 5억~50억 미만 1.99% 50억 이상 2.10% |
중건설공사 5억 미만 3.43% 5억~50억 미만 2.35% 50억 이상 2.44% |
철도 궤도신설공사 5억 미만 2.45% 5억~50억 미만 1.57% 50억 이상 1.66% |
기타건설공사 5억 미만 1.85% 5억~50억 미만 1.20% 50억 이상 1.27% |
107. 건설공사 시공단계에 있어서 안전관리의 문제점은 발주자의 감독 소홀이다.
108.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
(1) 공사 개요 및 안전보건관리계획
가. 공사 개요서
나. 공사현장의 주변 상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다.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라. 전체 공정표
마.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
바. 안전관리 조직표
사.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2) 작업 공사 종류별 유해, 위험방지계획
109.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발견 시 즉시 보수하여야 할 사항
(1) 침하의 정도
(2) 버팀대의 진압 정도
(3) 부재의 접속부ㆍ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4)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부식ㆍ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110. 크레인의 운전실 또는 운전대를 통하는 통로의 끝과 건설물 등의 벽체의 간격은 최대 0.3m 이하로 하여야 한다.
111. 달비계를 설치할 때 작업발판의 폭은 최소 40c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112. 산소결핍이라 함은 공기 중 산소농도가 18% 미만일 때를 의미한다.
적정 산소농도 : 18% ~ 25%
113.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 시작 전에 점검하여야 하는 사항
(1) 권과 방지장치ㆍ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114. 흙막이 공법을 흙막이 지지 방식에 의한 분류와 구조방식에 의한 분류
지지 방식 - 자립식, 버팀대식, 어스앵커
구조방식 - h-pile, 널말뚝, 지하 연속벽, 탑다운
115.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매듭 없는 방망사신품의 인장강도는 최소 240kg이상이어야 한다.
116. 항타기 및 항발기에 관한 설명
(1) 도괴 방지를 위해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할 때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해야 한다.
(2)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필러선을 제외한다)의 수가 10% 이상인 것은 권상용 와이어로프 사용을 금한다.
(3) 지름 감소가 공칭 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은 권상용 와이어로프로 사용을 금한다.
(4)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는 5 이상이 아니면 이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117. 굴착과 싣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토공기계
(1) Power shovel
(2) Trector shovel
(3) Back hoe
Motor grader는 지반의 정지작업에 사용되는 기계로 재설 기계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듯.
118.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따른 규칙 제60조
비계기둥 설치간격: 띠장 방향 1.85m 이하 장선 방향 1.5m 이하
띠장 설치간격(수직방향): 첫단, 그 외: 2.0m 이하
119.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의 측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설명
(1) 클럼프가 클수록 측압이 크다.
(2)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크다.
(3) 거푸집 속의 콘크리트 온도가 낮을수록 크다.
(4) 콘크리트 타설 높이가 높을수록 크다.
120.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설명
(1) 공극비 : 공극비가 클수록 투수계수도 크다.
(2) 포화도 : 포화도가 클수록 투수계수도 크다.
(3) 유체의 점성 계수 : 점성 계수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작다.
(4) 유체의 밀도 : 유체의 밀도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크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