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60402 금속재료기능장>

2022.05.05 - [공부/금속재료] - 060402 금속재료기능장 part.1

2022.05.06 - [공부/금속재료] - 060402 금속재료기능장 part.2

2022.05.07 - [공부/금속재료] - 060402 금속재료기능장 part.3

 

 

 

1. W의 융점은 3422℃이다.

 

 

2. 내력 표시방법

 

- 0.2%의 영구 변형에 대한 응력값

 

 

3. 퓨즈가 끊어져 다시 끼웠을 때 또 다시 끊어졌을 경우 대처방법

 

- 기계에 인입되는 전선 단락 여부 검사

 

 

4. 죠미니시험으로 경화능을 알 수 있다.

 

 

5. 피로시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시편형상

- 가공방법

- 열처리 상태

 

 

6. 충격시험은 동적시험에 해당한다.

 

 

7. 담금질 균열 발생방지방법

 

- 비금속 개재물 및 편석이 적은 재료를 선택

- 모서리의 샤프코너는 둥글게 설계

- 담금질 직후에 뜨임을 한다.

 

 

8. 금속의 변태점 측정방법

 

- 열 분석법

- 열 팽창법

- 전기저항법

 

 

9. 열처리 후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이 존재할 경우 일어나는 현상

 

- Ti, Al, V 이 많이 첨가되면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의 생성량이 감소함

 

 

10. 금속 결정의 응고와 형성과정에 관한 설명

 

- 고온의 용융금속이 냉각하여 응고점에 도달하면 응체내의 여러 곳에서 극히 미세한 결정의 핵이 생김

- 생성된 결정핵은 나뭇가지 모양으로 발달함

- 결정의 형성순서는 핵 발생→핵의 성장→결정경계형성으로 된다.

 

 

11. 구리 및 구리 합금에 대한 설명

 

- 황동은 Cu-Zn계 합금

- 인청동은 탄성과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크다.

- 켈멧은 Cu-Pb계 합금

 

 

12. 직경 50mm인 원통형의 시험체를 MT할때 원주방향 결함검출에 코일법이 가장 적합한 자화법이다.

 

 

13. 재료에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긴 시간동안 유지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하는 것을 크리프라 한다.

 

 

14. 시각에 나타나는 영상의 명료도의 판독성을 좋게 하는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

 

- 명도차를 크게 한다.

 

 

15. 주조경질합금으로 주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스텔라이트(stellite)의 주성분은 Cr, Co, W이다.

 

 

16. 강종 판정시험의 하나인 불꽃시험 통칙에 대한 설명

 

- 0.2% 탄소강의 불꽃길이가 500mm 정도 되게 압력을 가함

- 시험하는 시험편에 탈탄층, 질화층 및 침탄층은 없어야 함

- 시험장소는 직사광이 닿지 않는 적당히 어두운 실내가 좋음

 

 

17. 누설시험의 설명

 

- 압력용기나 부품 등의 관통 균열 여부를 검사

- 버블법, 시니퍼법, 후드법 등이 있음

- 시험재의 검사 부분은 깨끗이 닦은 후 건조

 

 

18. 강의 결정입자를 미세하게 하고 재질을 조정하여 강의 점인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조작법은 조질철이다.

 

 

19. 주철의 구상화처리 접종제로 Fe-Si가 많이 쓰인다.

 

 

20. 열전대에 사용되는 재료가 갖는 특성

 

- 내열, 내식성이 뛰어나고 고온에서도 기계적 강도가 커야 한다.

- 열기전력이 크고 안전성이 있어야 함

- 제작이 쉽고 호환성이 있어야 함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