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710 금속재료기능장>
2022.03.30 - [공부/금속재료] - 160710 금속재료기능장 part.1
2022.03.31 - [공부/금속재료] - 160710 금속재료기능장 part.2
2022.04.01 - [공부/금속재료] - 160710 금속재료기능장 part.3
21. 기름 담금질(oil quenching)에서 열유와 냉유로 구분할 때 열유 담금질의 가장 좋은 기름의 온도범위는 120~140℃이다.
22. 탄소강에서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것
- 용융점
- 열팽창률
- 탄성계수
23. 단강품의 결함 중 Ni, Cr, Mo 등을 포함한 특수강의 파단면에 발생되는 미세균열로서 파면은 은백색을 띠고 주로 강 중에 수소함량이 높았을 때 생기는 결함은 백점(white spot)이다.
24. 정적인 하중으로 파괴를 일으키는 응력보다 훨씬 낮은 응력으로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결국은 재료가 파괴되는 시험법은 피로시험이다.
25. 황동의 기계적 성질 중 인장강도가 최대가 되는 Zn의 함유량은 약 40%이다.
26. 반도체용 전극 재료의 선택 조건
- Al과 밀착성이 좋을 것
- SiO₂와 밀착성이 우수할 것
- 산화분위기에서 내식성이 클 것
27. 18-8 스테인리스강을 110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물에서 냉각한 조직명은 오스테나이트이다.
28. KB B 0845에 의거한 강 용접부의 방사선과 시험에서 2종 결함의 종류
- 용입 불량
- 융합 불량
- 가늘고 긴 슬래그 혼입
29. 금속의 표면에 스텔라이트, 초경합금 등의 특수금속을 융착시켜 표면 경화층을 만드는 방법은 하드페이싱이다.
30. 순철의 동소변태
- 체적의 변화
- 격자상수의 변화
- 결정구조의 변화
31. 킬드강이 탈산도가 가장 좋다.
32. 누설검사법 중 대형 용기나 저장조 검사에 이용되지만 누설위치의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은 검사법은 압력변화누설시험이다.
33. 심냉처리 시 시효 변형과 잔류 오스테나이트에 대한 설명
- 탄소함유량이 많으면 잔류 오스테나이트량이 많아짐
- 담금질 온도가 높으면 잔류 오스테나이트량이 많아짐
- 담금질 후 바로 심냉처리 한 것보다 150℃ 부근에서 뜨임을 행한 후 심냉처리 후 다시 뜨임 시 시효변형이 적다.
34. 매크로 시험에서 육안관찰 요소
- 균열, 기공등의 결함
- 수지상 결정의 분포상태
- 재료의 압연, 단조 등의 가공상태
35. 염욕 열처리 작업 시 주의해야 할 사항
- 홀더는 완전한 것을 사용할 것
- 반드시 소정의 보호구를 착용할 것
- 배기용 팬을 사용하기 전 충분히 점검할 것
36. 설퍼 프린트 시험에 대한 설명
- 반응식은 MnS+H₂SO4→MnSO₄+H₂S 이다.
- 황전사라고도 하며 강재 중 황의 편석 및 그 분포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다.
- 철강 중의 황화물과 황산이 반응하며 황화수소를 발생시키고, 이것이 브로마이드 인화지의 브롬화은과 반응하여 황이 착색된다.
37. TTT 등온 변태도에서 미세펄라이트 변태구간
- C구간
38. 와류탐상시험은 비접촉으로 시험할 수 있다.
39. 단강품 중심부의 단면을 보면 주조 시에 발생한 미세기공이 완전히 압착되지 않고 남아있는 다공성 기공이 있다. 이러한 결함을 찾아낼 수 있는 최적의 비파괴시험법은 UT이다.
40. 굽힘 시험에서 최대 응력을 나타내는 식 (단, P: 빔의 중점에서 작용하는 집중 하중, L: 지지점 간의 거리, Z: 단면계수이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