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10814 금속재료기사>

2021.12.11 - [공부/금속재료] - 210814 금속재료기사 금속조직학

2021.12.12 - [공부/금속재료] - 210814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학

2021.12.13 - [공부/금속재료] - 210814 금속재료기사 야금공학

2021.12.14 - [공부/금속재료] - 210814 금속재료기사 금속가공학

2021.12.15 - [공부/표면처리] - 210814 금속재료기사 표면공학

 

 

 

 

21. 주성분이 Cu와 Zn인 것

 

- Tombac

- Muntz metal

- Naval brass

 

 

22. 온도에 따른 치수의 변화가 큰 바이메탈용 합금에 해당되는 것

 

- Mn-Cu-Ni

- Fe-Ni-Mn

- Fe-Ni-Cr

 

 

23. 원자력발전에 사용되는 금속으로 비중이 19.1, 융점이 1,129℃인 것은 우라늄이다.

 

 

24. 탄소강에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합금강을 만드는 목적

 

- 저온에서의 충격강도를 높임

- 고온에서의 내열성을 개선

- 부식 환경에서의 내식성 개선

 

 

25. 합금원소가 주철의 조직과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

 

- Si는 Fe₃C를 분해하여 흑연화하는 원소

- Ni은 흑연화를 돕고 탄화물 생성을 저지하여 칠 방지에 효과적

- V는 흑연화를 방해하는 원소, 주철기지인 펄라이트를 치밀하게 하고 흑연을 미세화하여 인장강도를 높임.

 

 

26. 금속분말의 유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분말의 형태, 입도분포, 표면거칠기

 

 

27. Fe-Fe₃C 상태도에서 오스테나이트 영역을 확대시키는 성분은 Mn이다.

 

 

28. 다음 중 탄소의 함량이 가장 높은 소재

 

- STC120

- STC60

- SM50C

- SM20CK

 

숫자가 탄소함량 %를 나타낸다.

 

 

29. 석출경화계 스테인리스강은 STS631J1이다.

 

 

30. Ag의 열전도가 가장 높다.

 

 

31. 양백(Nickel Silver)에 대한 설명

 

- 10~20% Ni를 포함한 구리아연합금이다.

 

 

32. 강재의 불꽃시험에서 강재의 탄소함량에 따른 유선 및 파열의 결과

 

- 탄소의 함량이 높을수록 파열의 모양은 복잡해짐

- 탄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선의 색깔은 변화한다.

- 탄소의 함량이 높을수록 유선의 굵기는 가늘어진다.

 

 

33. 마텐자이트 조직의 경도가 큰 이유

 

- 결정의 미세화

- 급냉으로 인한 내부 응력

- 탄소 원소에 의한 Fe 격자의 강화

 

 

34. 체심정방구조를 가지며, 오스테나이트화된 Fe-C 합금이 급랭될 때 생성되는 조직은 마텐자이트이다.

 

 

35. 철강 재료의 피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처리 방법

 

- 가공 시 표면에 노치 없도록 한다.

- 침탄처리, 질화처리 등 표면경화 처리 한다.

- 부식성 분위기에서 사용될 경우 방식용 도금 진행한다.

 

 

36. Pb가 포함된 베어링 합금

 

- Kelmet

- White metal

- Bahn metal

 

 

37. 두랄루민의 주성분

 

- Al-Cu-Mg-Mn

 

 

38. Mg 에 대한 설명

 

- 비중은 약 1.74, 조밀육방격자

- 감쇠능이 우수하여 소음방지 구조재로 사용가능

- 마그네슘의 원료로는 Magnesite가 있다.

 

 

39. Fe-Fe₃C 상태도에 관한 설명

 

- Ledeburite 조직은 γ와 Fe3C의 혼합조직이다.

- 표준 조직에서 ferrite, pearlite, cementite의 체적비는 탄소함량에 따라 결정된다.

- 상온에서 α가 고용할 수 있는 최대 탄소함량은 약 0.008% 정도이다.

 

 

40. Babbite Meatl에 대한 설명

 

-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고 구리 및 안티몬을 첨가한 주석계 화이트메탈이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 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