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요점정리 및 해설을 해보았습니다.
표면처리산업기사 시험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는 그날까지 모두 화이팅!
구독, 좋아요
저에게 더욱 더 열심히 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됩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1 표면처리산업기사>
2021.06.25 - [공부/표면처리산업기사] - 2011 표면처리산업기사 금속재료 및 재료시험
2021.06.26 - [공부/표면처리산업기사] - 2011 표면처리산업기사 표면처리
2021.06.27 - [공부/표면처리산업기사] - 2011 표면처리산업기사 부식방식
1. 체심 입방 격자에 관한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
(1) 배위수는 8이다.
(2) 원자 충진율은 약 68%이다.
(3) Cr, Mo, V 등이 이에 해당되는 금속이다.
(4) 단위격자에 속한 원자수는 총 4 개다.
2. Cu, Sn 흑연 분말을 적정 혼합하여 소결에 의해 제조한 분말 야금용 합금으로 급유가 곤란한 부분에 사용하는 베어링은 오일리스 베어링이다.
3. 초경합금의 특성이 아닌 것
(1) 경도가 높다.
(2) 내마모성 및 압축강도가 높다.
(3) 고온 경도 및 강도가 양호하여 고온에서 변형이 적다.
(4)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재질의 종류와 형상이 단순하며, 초경합금으로 SnC가 많이 사용된다.
4. 수소저장용 합금의 기능이 아닌 것
(1) 금속의 미분말화 작용
(2) 수소의 분리 및 정제
(3) 초탄성 효과의 작용
(4) 저온, 저압에서의 수소저장
5. 완전 탈산 한 강으로 강괴 중앙 상부에 큰 수축관이 발생하여 불순물이 그 부분에 모이는 강괴는 킬드강이다.
6. 황동의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7:3 황동에 주석을 1% 정도 첨가한 합금은 에드미럴티 황동이다.
7. 스테인리스강의 설명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강화는 열처리보다 냉간 가공에 의한 것이 효과적이다.
8. 격자 결함 중 점 결함에 해당되는 것은 원자 공공이다.
9. Fe-C 상태도에 관한 설명
순철의 A₃ 변태점의 온도는 약 910℃이며, α↔γ 가 되는 점이다.
10. Mg 합금의 특징 중 틀린 것
(1) 비강도가 크다.
(2) 고온에서 활성이다.
(3) 상온 가공이 가능하다.
(4) 주조용으로 엘렉트론(Elektron) 합금이 있다.
11. 자분 탐상검사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
(1) 시험체는 강자성체에 적용할 수 없다.
(2) 시험체의 크기와 모양 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3) 결함의 모양이 표면에 직접 나타나므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4) 시험체의 표면이 결함 위치, 오양 크기 등의 정보는 얻을 수 있으나 결함의 깊이에 관한 정보는 얻을 수 없다.
12. 표점 거리 50mm, 단면적이 4 mm²인 재료가 최대 하중 100 kgf에서 파단되었을 때 표점 거리가 60mm였다면 인장강도는 25 kgf/mm²이다.
13. 주사 현미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
(1) EOS 장치를 부착하여 시료의 성분을 분석한다.
(2) 필라멘트에서 방출된 1차 전자의 강도 변화를 이용한다.
(3) 재료 파면을 보고 연성 및 취성 파괴를 구분할 수 있다.
(4) 레플리카와 같이 별도의 절차 없이 파면 자체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
14. 연한 강재의 1/16인치 지름의 강철 볼 압입자로 로크웰 경도 시험을 할 때 B 스케일로 나타내어야 한다.
15. 현미경으로 철강 시험편의 조직을 관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식제는 나이탈 용액이다.
16. 에릭센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
(1) 커핑 시험이라고도 불린다.
(2) 재료의 피로를 측정하는 시험법이다.
(3) 링의 내경이 27mm이고, 펀치 선단 반경이 10mm인 시험기를 주로 사용한다.
(4) 시험 중 시험편의 파단면이 보이기 시작할 때 컵 형상의 깊이와 하중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한다.
17. 압축 시험(compression tes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
(1) 압축 시험의 응력 부하 방향은 인장시험과 같은 방향이다.
(2) 시험편의 높이가 작을수록 같은 압축력에 대하여 실제 응력이 크다.
(3) 일반적으로 취성이 있는 재료의 경우에는 길이와 직경의 비(L/D)를 1~1.5배로 한다.
(4) 주철 등과 같은 취성재료는 압축 파괴 강도의 판정을 위하여 압축 시험을 실시한다.
18. 탄성력이 큰 재료에 일정한 하중을 가하여 변형시킨 후 하중을 제거하였을 때 원상복귀에 대한 검사 또는 변형상태를 측정하는 시험은 스프링 시험이다.
19. 비금속 게재물 중 D계 게재물의 종류는 구형 산화물 종류이다.
20. 비파괴 시험과 검출 가능한 결함의 연결이 틀린 것
(1) 방사선 투과 시험 - 융합 불량
(2) 초음파 탐상 시험 - 라미네이션
(3) 침투 탐상 시험 - 외부(표면) 기공
(4) 와전류 탐상 시험 - 내부 슬래그 혼입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가능하니 눌러주시면 더욱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